게시판

[스크랩]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원재연 2012. 9. 25. 14:25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 글을 쓰다가 의문이 나면 아래 사이트나 상담기관에 문의하라.

 

  o 한글 맞춤법 검사기(무료) : http://speller.cs.pusan.ac.kr/

    (즐겨찾기 해놓고, 의문이 되는 단어나 문장을 넣어서 검사)

 

  o 한글 맞춤법 규정 찾아보기 :

http://urimal.cs.pusan.ac.kr/urimal_new/learn/kr_rule/sent_mark/sent_mark.asp

 

  o 전문 상담기관에 전화상담 또는 홈페이지 인터넷 상담

 

    - 국립국어원 : 1599-9979 /

http://www.korean.go.kr/09_new/index.jsp

 

     *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질의응답란에 맞춤법 관련

       온갖 상세한 자료가 다 들어있다.

 

    - 한글학회 : 02-738-2236~7 / http://www.hangeul.or.kr/

 

□ 맞춤법이 여러 번 바뀌어 우리가 어렸을 때 배웠던 것이 맞다고

   우기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읍니다>가 <~습니다>가 되었고,

   복잡했던 띄어쓰기도 적당히 띄거나 붙여써도 모두 맞게 되었다.

 

    * 위 한글 맞춤법 검사기에 넣으면 무조건 띄라고 나오는데,

      적당히 붙여써도 맞도록 바뀌었다.

 

□ 틀리기 쉬운 문장부호

 

  o 줄임표(……)는 6개 찍는 것이 맞다.

    (흔히 3개를 찍기도 하는데 맞춤법에는 6개가 정확함.)

 

  o 줄임표 뒤에는,

    말을 마치는 건지, 묻는 건지, 느낌인지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보통 마침표를 찍는데(…….)

    꼭 마쳤다는 내용이 아닐 경우는 안 찍어도 되고,

    묻거나 느낌을 굳이 표현하려면 물음표(?)나 느낌표(!)를 써도 된다.

 

  o 표제어(제목)나 표어에도 줄임표 사용이 가능하다.

    예) 그녀를 그리며......

 

     * 표제어나 표어 뒤에는 마침표도 찍지 않으니

       줄임표 끝에도 마침표를 찍지 말 것.

 

□ 시(詩)에서의 문장부호 처리

 

  o 시를 짓는 데에 쓰이는 문장은 기본적으로는 국어 문장이기에

    문장 부호를 사용한다.

 

  o 그러나 시는 문학적 형상화를 위해서 어순이나 문법을 파괴하는

    경우가 왕왕 있으며, 이와 같은 선상에서 문장 부호의 사용도

    생략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시적 허용의 범위에 들어간다.

 

   * 따라서, 시에서는 쉼표(,), 마침표(.), 물음표(?) 등을 생략해도 된다.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