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오행
1. 오행이란 무엇인가?
오행이란 목, 화, 토, 금, 수 다섯가지를 말한다 사주추명학은 십종의 천간과
십이종의 지지를 음과 양 및 오행으로 분류하여 그 상호관계에 의해 사람의
운명을
예지하는 것이다
고로 사주추명학의 사상적 기초는 오행에 있는 것이다
우리 동양의 전통적 사상은 우주만상이 오행에 의하여 이루어졌다고 믿어
왔으며 세상사 어느 것이나 이 오행의 작용이라고 생각해 왔다
이 오행에 대하여 고금을 통해 학자간에 여러 가지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데,
본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목적이 아니므로 옛 사람들이 사색방법의 한 형식으로
수립한 오행설이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으로서 그치겠다
연해자평은 오행의 발생에 대하여 (태양, 수를 생하고, 태초, 화를 생하고,
태시, 목을 생하고, 태소, 금을 생하고, 태극이 토를 생하였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일반적으로 오행은 역경에 유래한 것이라고 믿어지고 있다
즉 화는 역경에서 말하는 태양에서, 목은 소양에서, 수는 태음에서, 금은
소음에서 유래하고, 토는 이 모든 것을 포함한 것이라 한다
생각하건대 역경에서 음양설이 시작되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봐서 오행설은
역경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마치 천지창생의 훈운에
제하여 오행이 생긴 것처럼 설명하는 연해자평의 오행소생설은 후세에 분식된
우화에 불과하다고 봐야 할 것이다
(오행설)은 오행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목: 방각은 동에 해당하고, 계절로 보면 봄에 해당하고, 하루로 치면 아침에
해당한다 기는 생기이고, 색은 청색이고, 성질은 인이다
화: 방각은 남, 계절은 여름, 하루로 치면 낮에 해당한다 기는 왕기이고,
색은 적이고 성질은 예이다
금: 방각은 서, 계절은 가을, 하루로 치면 저녁에 해당하고, 기는 숙살지기이고
색은 백이며 성질은 의이다
수: 방각은 북, 계절은 겨울, 하루로 치면 밤이고 기는 사기이며 색은 흑이고
성질은 지이다
토: 방각은 목화금수 사방의 중앙이며, 계절도 각 계절의 중앙이며 하루로 치면
해가 중천에 와 있는 대낮을 말한다 기는 둔하고 색은 황색이며 성질은 신이다
2. 오행의 생극 및 왕쇠
전항에서 오행의 성질이 무엇인가 알았는데 오행간에는 그 성질 작용이 서로
친화, 상생의 관계에 있는 것과 배반, 상극되는 것이 있다 전자를 (상생)이라
하고 후자를 (상극)이라 한다
전장 월간지를 구하는 법 및 시간지를 구하는 법에서 설명하듯이 오행의 상생,
상극은 다음과 같다
상생: 목이 화를, 화가 토를, 토가 금을, 금이 수를, 수가 목을 생한다
상극: 목이 토를, 토가 수를, 수가 화를, 화가 금을, 금이 목을 극한다
사주추명학이란 결국 생년, 월, 일, 시의 간지의 오행간의 상생, 상극을 보고
운명의 길흉을 판단하는 것이므로 이상 말한 오행의 개념 및 상생 상극의 법칙을
철저히 암기함이 사주추명학 해득의 첩경이다
오행은 계절에 따라 왕성해지기도 하고 쇠약해지기도 한다 즉
목: 봄(인묘진월)에 가장 왕성하고 겨울(해자축월)에도 수생목(겨울에는 수가
왕성하다)하여 왕성하다 여름(사오미월)에는 화가 성하는 계절이므로 가장
쇠약해진다
화: 여름에 가장 왕성하며 봄에도 목생화이므로 왕성하다 가을에는 쇠약해지며
겨울에는 가장 쇠약해진다
금: 가을에 가장 왕성하며, 토가 성하는 사계절(진미술축월)에도 성한다 겨울과
봄에는 쇠약하며 여름에는 가장 쇠약해진다
수: 겨울에 가장 왕성해지며 가을철에도 왕성하다 봄에는 쇠약해지며 여름과
사계절에는 가장 쇠약해진다
토: 사계절(진미술축월)에 가장 왕성하며 여름에도 왕성하다 가을과 겨울에는
쇠약해지며 봄에는 가장 쇠약해진다
'사주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당사주보는 법 (0) | 2014.03.06 |
---|---|
[스크랩] 정확한 만세력 계산법 (0) | 2012.11.20 |
[스크랩] 사주정설 - 제1편 입문 제2장 사주를 정하는 법 (0) | 2012.11.13 |
[스크랩] 사주정설 - 제1편 입문 제1장 서론 (0) | 2012.11.13 |
[스크랩] 사주보는 법 (0) | 2012.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