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관련 자료

[스크랩] * 당사주 십이살 실전 기본기

원재연 2014. 3. 6. 12:24

* 당사주 십이살 실전 기본기


()

겁살이 사주에 있는 자는 대개 불안한 심정을 지닌 사람이다. 겁살 방향은 말썽이 일거나, 결점, 불안한 요소가 잠재하는 곳으로 피해야 한다. 겁살일의 문객은 가정의 중대사를 물어보기 위해 내방한 것이고, 그 문제는 장성살이나 화개살이 되는 연월일에 해결된다. 망신이 드는 월일에 해결되는 문제는 언쟁이나 쟁투, 시비를 수반한 문제 해결로 길사가 된다. 겁살일에 경솔한 언행은 화근이 될 우려가 크다. 겁살 자식은 대개 좋지 않은 인연으로 작용한다.

()

자신의 사주로 주동하여 재살에 해당하는 위인은 처음에 행운을 가져오지만, 흉운기에 접어들면 반드시 자신을 해치는 상대로 판단하는 게 좋다. 따라서 평소에 속마음을 터놓거나 내막을 노출시키면 후일 피곤하게 된다. 자식이 재살에 해당하면 자신을 능가하고 출세하며 융성한 삶을 살게 된다. 이 날의 문객은 답답한 일이나, 이미 재앙을 당한 사람으로 월살과 역마살이 되는 연월일과 혹은 삼합되는 시점에 문제가 해결되는 것으로 판단해서 조언하면 된다. 재살 방향에 위치한 건물이나 공간은 손을 대지 않는 게 좋고, 이를 어기면 탈이 난다.

()

천살 방향은 불리하므로 염두에 두는 게 좋다. 중대한 일을 앞둔 전날 밤은 천살방향으로 머리를 두고 자면 안 된다. 천살 방향으로 이사하면 좋지 않은 인연을 만나게 된다. 사주에 천살과 월살이 나란히 있으면 배우자와 언쟁이 심하고 불화하며 매사 장애가 많다. 천살과 망신살이 나란히 있으면 몹시 흉한 일이 발생하게 된다. 이날의 문객은 탄식하고 후회하는 일로 찾은 사람이다. 문제 해결의 길일은 육해살, 혹은 겁살의 연월일로 판단하면 좋다. 천살의 자식에게 투자하는 것은 못에 돌을 넣는 식이다.

()

지살일의 문객은 답답이 지나쳐 울고 싶은 감정에 놓인 자다. 지살은 장성살과 잘 매치되고, 역마살에도 흉변길의 묘리가 있다. 그러나 육해살과는 맞지 않으므로 문제 해결의 근거가 되는 시점은 이상의 내용에서 판단하면 무리가 없다. 택일도 마찬가지다.

()

년살일의 문객은 애정사나 외유 등 들뜬 심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무방하다. 반안살이 길운이고, 월살이 흉운이다. 년살과 월살이 있는 여명은 유산이나 난산이 잦고 출산에 어려움이 있다. 년살이 겹치는 시점에는 외유나 외정이 발생하는데, 자신이 아니면 필시 배우자다.

()

월살의 일진은 매사 방해요소가 있으므로 일이 잘 풀리지 않는다. 사주에 월살이 있는 사람이 월살의 세월에 봉하면 파란이 인다. 월살일의 문객이 대동하는 이성은 배우자가 아닌 애인관계가 틀림없다. 월살은 년살, 천살, 화개살과 매치되지 않는다. 월살에 해당하는 궁합은 업보에 얽매이므로 처음에는 길연으로 작용하나 종국에는 파탄이다. 사주에 월살과 화개살이 같이 하면 하체불구를 겪기도 한다. 월살의 자식을 출산하면 일단 개운과 발복의 조짐이다. 금전의 융통이나 협조는 월살의 인연에게 구하면 협조를 아끼지 않는다. 월살 방향은 행운의 방향이다. 그러나 오래토록 길운이 지속되지는 않으므로 구하고 나면 자리를 옮기는 게 좋다.

() ()

망신은 흉살이지만, 육해살과 동주하면 위력이 소멸되고 길운으로 변모하는 경우가 많다. 육해살의 시점이 좋은 결과를 낳게 된다. 집의 현관이 망신살 방향이면 파가의 원인이 되고, 흥망고저, 형액이 이어진다. 대운이 망신이면 재운이 따른다. 부정하거나 부당한 방법으로 재화를 득하지만, 형충의 시점에는 결국 대가를 치르게 된다. 세월의 망신 역시 부당한 이득을 취하기 쉽다. 망신이 형과 겹치면 매우 위태하고, 망신살의 인연은 악연이기 쉽다. 망신살 방향으로 머리를 두고 잠을 자면 불합격이다. 망신살 자식은 후에 오명이 되기 쉽다.

() ()

상호 장성살과 지살의 인연은 길연이다. 겁살과 재살에 해당되어도 마찬가지. 장성살의 인연과는 친하면 길연이고, 헤어지면 흉운에 봉착한다. 가령 장성살의 딸을 출가하며 가세가 기울게 된다. 따라서 사주에 장성살과 지살, 반안살 또는 겁살과 재살이 있으면 길명이라 판단한다. 장성살 방향은 자신을 제압하는 대장군 방향으로 흉방에 속하며 절도범이 도주하는 방향도 이 방향이다. 장성살 방향의 현관은 불리하고, 문객의 사업이 저조하면 이를 체크해볼 필요가 있다. 장성일에 드는 문객은 필시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일을 묻게 된다. 지살과 반안살의 연월일에 성취를 볼 것이라 판단하라. 장성이 드는 시점에 재도전하면 성공하게 된다. 그러나 역마와는 불리한 조합이다. 장성과 역마가 같이 있는 사주는 불리한 명으로 본다.

() ()

중대사를 앞두고는 전날 반안살 방향으로 잠을 자는 게 좋다. 현관은 반안살 방향이 최선이다. 재물의 융통은 반안살의 인연에게 부탁하면 들어준다. 반안살은 길하지만 천살, 월살, 화개살과는 맞지 않는다. 인연도 악연이고 해당 시점은 흉운을 예고한다. 반안살의 띠와 결혼하면 성공하는 조짐이 강하므로 인연을 버리지 말아야한다. 겁살과 반안살의 조합에서는 겁살은 성공하고 반안살은 갈등한다. 생시나 대운에 반안이 들면 특히 예능계통에서 성공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 ()

역마는 보통 변화와 이동을 의미하지만, 구원이나 협조 등의 행운을 내포하는 길운의 작용을 한다. 역마는 길살과 동주하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흉살과 겹치면 계속 패하는 특성이 있다. 지살과 반안과 함께 하면 최선의 조합이다. 역마살의 인연은 처음에 고생하지만 후에는 성취를 보는 조합이다. 부부가 헤어질 지경에 처해도 역마의 시점에 자식을 출산하면 이혼이 없고, 재결합한다.

() ()

육해는 망신살과 매치되고, 지살과 역마살은 몹시 꺼린다. 육해와 역마가 같이 있으면 매사 장애를 겪고 지연된다. 이때는 오히려 충하는 운에 반전의 묘리가 있다. 육해살의 인연과는 친하면 덕이 되지만, 떠나면 원수가 되고 흉이 된다. 가령 어느 집안이 며느리를 버리고 망했다면 이는 육해살 또는 장성살의 인연과 별했기 때문이다. 육해살의 시점에 태어난 자식은 반드시 가업을 승계하므로 부모 생전에 사망하는 일은 없다. 육해살 방향은 기도하는 방행이며, 장기적 투자처로는 이 방향이 제격이다. 이날의 문객은 조상이나 후사에 관한 일, 혹은 집안의 중심적 인물의 길흉을 묻는 경우가 많다.

() ()

화개는 월살과 매치되지 않는다. 출생년의 화개는 조부대에 몰락의 역사가 있다. 화개의 방향은 재결합이나 재회, 상봉과 관련이 깊고 이날의 문객 또한 재차의 상황을 묻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그전까지는 무의미하고 패배의 늪에서 간절한 소망을 지닌 이로 보면 무방하다. 재결합의 커플 또한 화개살의 인연이 바탕이 된다. 사주에 월살과 화개살이 같이 하면 매사 성취됨이 없고, 해당 일진 또한 불통이다. 그러나 형충과 월살만 피한다면 화개살의 대운과 세월의 운은 길운으로 판단하고 재기를 예고한다.


...12신살의 방향 정하는 예) 띠가 인,오,술일때 화개방은? 술방-서북
...문객의 띠를 기준으로 문점일의 일진과 매치시켜 12신살을 붙인다

예)말띠 문점자가 병진일 래방할 경우? 월살일이 됨

출처 : 나이스 사주명리
글쓴이 : 나이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