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春雨(봄비) / 허난설헌 春雨(봄비) 허난설헌 春雨暗西池 춘우암서지 보슬보슬 봄비는 못에 내리고 輕寒襲羅幕 경한습라막 찬바람이 장막 속 스며들 제 愁倚小屛風 수의소병풍 뜬시름 못내 이겨 병풍 기대니 墻頭杏花落 장두행화락 송이송이 살구꽃 담 위에 지네. ❂핵심 정리 • 갈래 : 오언절구 &a.. 시문학/한시 자료 2013.01.08
[스크랩] 추사 김정희 한시선(漢詩選) 수선화(水仙花)-김정희(金正喜) 수선화 一點冬心朶朶圓(일점동심타타원) : 한 점 찬 마음처럼 늘어진 둥근 꽃이여 (한 점의 겨울 마음 송이송이 둥글고 ) 品於幽澹冷雋邊(품어유담냉준변) : 그윽하고 맑은 품성, 냉철하고 준수한 경지로다 (그윽하고 담담하고 냉철하고 빼난 기품이라) 梅.. 시문학/한시 자료 2013.01.08
[스크랩] 취하신 님께(증취객·贈醉客)’ - 이매창(李梅窓) ‘취하신 님께(증취객·贈醉客)’ - 이매창(李梅窓) 醉客執羅衫 (취객집나삼) 羅衫隨手裂 (나삼수수렬) 不惜一羅衫 (불석일나삼) 但恐恩情絶 (단공은정절) 술 취하신 님 날 사정없이 끌어 당겨 끝내는 비단 저고리 찢어 놓았지요 비단 저고리 아까워 그러는 게 아니라 맺은 정 끊어질까 두.. 시문학/한시 자료 2013.01.08
[스크랩] 야좌(夜坐)/이매창(李梅窓) 야좌(夜坐)/이매창(李梅窓) 밤에 혼자 앉아 西窓竹月影婆娑(서창죽월영파사) 서창 대숲 달그림자 어른거리고 風動桃園舞落花(풍동도원무낙화) 복숭아 밭에 바람 부니 낙화가 춤을 추네 猶倚小欄無夢寐(유의소난무몽매) 여전히 작은 난간에 기대니 잠은 오지 않고 遙聞江渚菜菱歌(요문강.. 시문학/한시 자료 2013.01.08
[스크랩] 墨梅(묵매) - 尹善道(윤선도)| 墨梅(묵매) - 尹善道(윤선도) 먹으로 그린 매화 物理有堪賞(물리유감상) : 사물의 이치에는 감상할 만한 것도 있어 捨梅聚墨梅(사매취묵매) : 매화 대신 먹으로 그린 매화 그림을 취했네 含章知至味(함장지지미) : 깊은 의미를 함축한 표현은 지극한 멋이 있으니 令色豈良材(영색기양재) : .. 시문학/한시 자료 2013.01.08
[스크랩] 山茶花(산다화)-徐居正(서거정) 山茶花(산다화)-徐居正(서거정) 歲寒和氣獨胚胎 세한화기독배태 却殿群芳恰半開 각전군방흡반개 調格自高霜始見 조격자고상시견 風流無伴雪同來 풍류무반설동래 苦牽花惱巡千匝 고견화뇌순천잡 生怕香殘夢幾廻 생파향잔몽기회 苦憶畫堂屛上看 고억화당병상간 .. 시문학/한시 자료 2013.01.08
[스크랩] 송강 정철 한시전집 송강 정철 한시전집 181. 霞堂四欠與龜峰分韻而作 하당의 네가지 흠 (귀봉과 더불어 나누어 지 었다) 白日嫣然松竹叢 밝은날 松竹 속에서 상긋 웃나니(자미화) 元來物色不相同 원래부터 物色과는 같지 않아라. 前灘正對輪蹄路 앞 여울이 車馬길과 바로 대하고 있으니 合作行人照眼.. 시문학/한시 자료 2013.01.08
[스크랩] 한시(漢詩)의 이해(理解) 한시(漢詩)의 이해(理解) 南 完 1. 서(序) 중국에서 한자(漢字)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래로 이 땅의 옛 지식인들의 문학활동은 한자를 사용하여 많은 문장을 후세에 남겼다. 시(詩)는 그중 가장 많이 문학작품으로 남겨지고 또 음미되었으며 시작(詩作)은 사대부, 서얼, 중인, 승려, 기생등 .. 시문학/한시 자료 2013.01.08
[스크랩] 유명 시조와 해설 작품: 1] 與隋將于仲文詩(여수장우중문시) 神策究天文(신책구천문) 妙算窮地理(묘산궁지리) 戰勝功旣高(전승공기고) 知足願云止(지족원운지) 그대의 신기한 책략은 하늘의 이치를 다했고 오묘한 계산은 땅의 이치를 꿰뚫었도다. 그대 전쟁에 이겨 이미 공이 높으니 만족함을 알고 그만두.. 시문학/한시 자료 2013.01.08
[스크랩] 한국 한시 한국 한시 강희맹; 강물에 부서진 달 강희맹; 꽃밭에 호미 메고 권구; 불쌍한 쥐새끼야 권구; 싸우는 두 사람 권구; 참아야지 참아야지 권호문; 모난 성격 홀로 고상함 지켜 김류; 낚시 김시습; 나그네 김시습; 벌레먹은 어금니 김육; 국화 김육; 슬픔 김육; 옛 역사를 보면 김인후; 사미정 .. 시문학/한시 자료 2013.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