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절구 / 두보 絶 句 (절구) 江碧鳥逾白 (강벽조유백) 山靑花欲然 (산청화욕연) 今春看又過 (금춘간우과) 何日是歸年 (하일시귀년) 아래는 시의 해석입니다. 강이 검푸르니 새는 더욱 희고 산이 푸르니 꽃이 불붙듯 하네. 올봄도 또 그냥 지나감을 보니 돌아갈 때 그 언제가 될 것인가. 시문학/한시 자료 2012.12.24
[스크랩] 비오는 날 감상하는 한시 오늘이 초복인데, 비가 엄청나게 내리고 있습니다. 조선후기의 시인인 유득공이 비가 오는 것과 솔개의 울음소리를 음차하여 지은 시 중에 아주 재미있는 것이 있어서 함께 감상해 볼까 합니다. 이 작품은 유득공의 문집인 ?齋集卷之一 儒城柳得恭惠甫著 古今?詩 一百九十九首에 실려 있.. 시문학/한시 자료 2012.12.24
[스크랩] 취시가 / 김덕령 醉時歌此曲無人聞(취시가차곡무인문) : 취할 때 부르는 노래여 이 곡조 듣는 사람 없네 我不要醉花月(아불요취화월) : 나는 화월에 취함도 바라지 않네 我不要樹功勳(아불요수공훈) : 나는 공훈을 세움도 바라지 않네 樹功勳也是浮雲(수공훈야시부운) : 공훈을 세우는 것도 뜬 구름이요 .. 시문학/한시 자료 2012.12.24
[스크랩] 탄로가 / 우탁 (고려 말) 우탁(1263-1343) 靑山의 눈 녹인 빛링 건듯 부러 간 딪 업다 져근덧 비러다가 불니고져 마리 우희 불니고져 귀 밋희 힝 묵은 서리를 녹여 볼가 힝노라 한 손에 막딪 잡고 힝 한 손에 가승 쥐고 늙다 길 가승로 막고 오다 백발 막딪로 치려터니 白髮이 졔 몬져 알고 즈럼길노 오더라. 嘆老歌. 즈.. 시문학/한시 자료 2012.12.24
[스크랩] 이화에 월백하고 (다정가) / 이조년 (고려말) 이조년(1269-1343) 梨花에 月白힝고 銀漢이 三更인 제 一枝春心을 子規ㅣ야 아랴마다 多情도 病인 양힝야 짜 못 들어 힝노라 하얗게 핀 배꽃에 달이 환히 비치고 은하수는 돌아서 자정을 알리는 때 배꽃 한 가지에 어린 봄날의 정서를 자규가 알고서 저리 우는 것일까마는 다정다감한 나는 .. 시문학/한시 자료 2012.12.24
[스크랩] 송인 정지상 送人 鄭知常 뜰 앞에 나뭇잎 하나 떨어지고 마루 아래에는 온갖 벌레 슬피운다. 훌쩍 떠나니 잡을 수 없지만 유유히 어디로 가는가. 그리운 마음은 산이 다한 곳까지 달리고 외로운 꿈 달밝을 때 꾼다오. 남포에 봄물빛 푸르러거던 그대 훗날 만나기로 한 약속 저버리지 마오. 庭前一葉落 .. 시문학/한시 자료 2012.12.24
[스크랩] 추구(推句) 추구(推句) 山 高 松 下 立(산고송하립)이요 江 深 沙 上 流(강심사상류)로다 水 去 不 復 回(수거불복회)요 言 出 更 難 收(언출갱난수)로다 *深; 깊을 심. *沙; 모래 사. *流; 흐를 류. *復; 돌아올 복. *難;어려울 난. *更; 다시 갱. *收; 거둘 수. 산이 높다하되 소나무 아래에 있고 강물이 깊다 .. 시문학/한시 자료 2012.12.24
[스크랩] 비오는 날 감상하는 한시 오늘이 초복인데, 비가 엄청나게 내리고 있습니다. 조선후기의 시인인 유득공이 비가 오는 것과 솔개의 울음소리를 음차하여 지은 시 중에 아주 재미있는 것이 있어서 함께 감상해 볼까 합니다. 이 작품은 유득공의 문집인 ?齋集卷之一 儒城柳得恭惠甫著 古今?詩 一百九十九首에 실려 있.. 시문학/한시 자료 2012.11.22
[스크랩] 이별시 한 편 이별시로는 최고라고 해도 좋을 한시 한 편이 있어 소개합니다. 送靈巖使君鄭來仲 영암 태수가 되어 지방으로 가는 정내주를 보내며 肺肺庭前柳。折之花如雪。 뜰 앞에 무성한 버드나무는, 꺾인 꽃이 희기가 눈 같은데 (이별의 징표로 주는 버들가지를 너무 많이 꺾어 주었기 때문에 이.. 시문학/한시 자료 2012.11.22
[스크랩] 난초 그림에 제하다-이방응- 좋은 한시를 감상합니다. 다음 작품은 중국 청나라의 화가 이방응이 자신이 그린 그림에 써넣은 題畵詩입니다. 동양화의 경우 화폭의 여백에 그림과 관계된 내용을 담은 절구, 또는 율시를 첨록하는데, 그러한 시를 일컬어 제화시(題畵詩)라고 하며 화제시(畵題詩)라고도 합니다. 또는 구.. 시문학/한시 자료 2012.11.22